어느 높은 곳을 향하여 달려 나가고 있는가?
그대가 어느높은 곳을 향하여 올라간다 하더라도 결국은 내려오는 길 밖에는
없지 않곘는가?
높이 올라갈수록, 더 많은 욕망을 채울수록… 내려오는 길 만이 있을 것이며
올라간 만큼 내려오는 길이 더 멀어지는 것이기에 내려오기가 더욱 힘겨운 것이다.
결국에는 다 버려야 될 것들인것을 알면서도 그것에 집착하고 있기에 고통스러운 것이
아니겠는가?
모두가 버려졌을때에 비로소 모든 것을 얻는 것이다.
고통과 괴로움은 집착과 욕망이 그 원인이며, 집착과 욕망은 나 아닌 것을 나로 아는 의구심에서
비록 된것이다.
지식이 많으면 많은 만큼, 재물이 많으면 많은 만큼, 명예가 높으면 높은 만큼…
그만큼 고통은 커지는 것이면 결국에는 버려야만 할 것들이 아니겠는가?
지구를 정복하고 우주를 정복하려 하는가?
산이, 강이, 바다가,지구가, 우주가, " 내가 정복 당했다" 고 말하는가?
누가 무엇을 정복하였으며 누가 무엇이 정복을 당했다고 말하는가?
신이 나는 신이라고 말하는가?
하나님이, 부처님이, 옥황상제가, 천국이, 지옥이, 영혼이…
그것들이 나는 그것이라고 말한 바 없다.
세월이 있어서 내가 간다고 말하는가?
오직 행위하는 것은 그대의 마음이다.
걱정하지 말라, 근심하지 말라, 고통이라고 생각하지 말라…
근심과 걱정, 초조와 불안, 긴장…그러고 싶어서 그러는 사람은 없다.
행복하게 여여하게 존재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법정-
1932.10.8 ~ 2010.3.11
이제 9월달이다. 조금씩 초조해지는 나를 볼 수 있다. 조금씩 근심도 늘어가고, 조금 더 빨리, 조금 더 많이가 어느새 나도 모르게 내 일상에 파고들고 있다. 불안과 조바심 나를 지배해 가고 있을때 쯤 법정스님의 글이 나를 온하게 만든다.
이 분의 책을 읽으면 늘 나를 돌아본다. 그리고 나 자신이 처한 상황을 생각해 본다.
그리고 늘 작아진다. 저 뒷모습에서 위풍당당함을 느낄 수 있다.
법정스님은 그의 글에서 자신은 돈이 많고, 사회적 지위가 높고, 학력이 좋고, 자신보다 힘이 세고, 더 많은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부끄럽고 낮아지지 않는다라고 말을 했다. 그가 한없이 작아지고 부끄러운 순간은 그가 미치지 못한 생각과 관념, 그리고 사고를 가진 자에게서 작고 초라함을 느낀다고 한다.
난 또 작아졌다. 내가 무엇을 위해 어떤 일을 행할때 그것의 의미나 뜻이, 모두 다 나의 과욕이었음을 뉘우친다.
심호흡을 하고 나를 돌아보니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고 다시 나를 다잡는 순간이었다. 사실 이 글을 쓸때 이런 글을 쓰려고 한건 아니었는데 또 엄한 방향으로 흘러갔다.
내가 법정스님을 디자이너 카테고리에 올리는 건, 디자인이 꼭 예술과 융화되어 매체와 커뮤니케이션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삶의 대한 성찰, 자기반성 등을 통해 얻어지는 무수한 일련의 과정은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지향성을 계획하고 실천함에 있어 언어로서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이 디자인의 한부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법정스님은 정말 위대한 디자이너였고, 아트디렉터였음을 나는 감히 전한다.
이 분의 책을 읽으면 늘 나를 돌아본다. 그리고 나 자신이 처한 상황을 생각해 본다.
그리고 늘 작아진다. 저 뒷모습에서 위풍당당함을 느낄 수 있다.
법정스님은 그의 글에서 자신은 돈이 많고, 사회적 지위가 높고, 학력이 좋고, 자신보다 힘이 세고, 더 많은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부끄럽고 낮아지지 않는다라고 말을 했다. 그가 한없이 작아지고 부끄러운 순간은 그가 미치지 못한 생각과 관념, 그리고 사고를 가진 자에게서 작고 초라함을 느낀다고 한다.
난 또 작아졌다. 내가 무엇을 위해 어떤 일을 행할때 그것의 의미나 뜻이, 모두 다 나의 과욕이었음을 뉘우친다.
심호흡을 하고 나를 돌아보니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고 다시 나를 다잡는 순간이었다. 사실 이 글을 쓸때 이런 글을 쓰려고 한건 아니었는데 또 엄한 방향으로 흘러갔다.
내가 법정스님을 디자이너 카테고리에 올리는 건, 디자인이 꼭 예술과 융화되어 매체와 커뮤니케이션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삶의 대한 성찰, 자기반성 등을 통해 얻어지는 무수한 일련의 과정은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지향성을 계획하고 실천함에 있어 언어로서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이 디자인의 한부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법정스님은 정말 위대한 디자이너였고, 아트디렉터였음을 나는 감히 전한다.
'Design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기와 민 (0) | 2010.06.08 |
---|---|
MAESTRO 에밀루더 (0) | 2010.06.06 |
Rudolph De Harak (2) | 2010.05.28 |